Update Post “2023-10-23-git-mirror-self-hosting”
This commit is contained in:
parent
f0a4ae6a46
commit
5125b6977a
|
@ -18,7 +18,7 @@ SSH를 Kali 서버로만 열고, Authorized Keys 파일에 Public Key와 "comman
|
|||
|
||||
이것도 그쪽에서 도메인이 아니라 IP로 고정해둬야 하는 방식이듯 해 Dynamic IP는 안된다고 했는데, 이거는 VPS에 연결해서 SSH Shim 비슷하게 설정하는걸로 해결했다. VPS IP는 고정이니까 그 서버를 거쳐서 내 로컬 서버로 들어오게 설정해놨다. 이렇게 하는 바람에 이제 VPS가 Dependency로 남아버렸다. 내가 서버를 아마 앞으로 평생 해놓을 것 같으니 저 IP도 평생 달에 5불씩 내면서 유지를 해야한다. 이것 이외에는 값싸게 고정 퍼블릭 IP를 받을 방법이 없다. 데이터센터는 트래픽이 너무 비싸고, 트래픽이 싸더라도 로컬 NFS를 써야하니까 실제 서빙 대역폭의 두배가 필요하다. 계산해 보니 달에 평균적으로 14-15TiB정도 쓰는데, 이거 VPS에서는 한 5-60불이라 부담이 좀 된다.
|
||||
|
||||
아웃바운드 트래픽이 14-15TiB나 되니 ISP에 헤비업로더로 등록?된듯 하다. 아무래도 가정용 회선을 써야 하니까 ISP의 제한을 조금 받는데, 가끔 DHCP도 안주고 레이턴시도 늘어지고 해서 짜증이 난다. 근데 어차피 아웃바운드는 한 80%가 국내니까 어차피 ISP 내부 망 안일텐데, 이러면 왜 굳이 제한을 하는건지 잘 모르겠다. 솔직히 국내 ISP는 국내에서라도 QoS를 없애야 한다. 150GiB는 요즘같은 시대에 너무 적은 용량인데 말이다.
|
||||
아웃바운드 트래픽이 14-15TiB나 되니 ISP에 헤비업로더로 등록?된듯 하다. 아무래도 가정용 회선을 써야 하니까 ISP의 제한을 조금 받는데, 가끔 DHCP도 안주고 레이턴시도 늘어지고 해서 짜증이 난다. 근데 어차피 아웃바운드는 한 80%가 국내니까 어차피 ISP 내부 망 안일텐데, 이러면 왜 굳이 제한을 하는건지 잘 모르겠다. 솔직히 국내 ISP는 국내에서라도 QoS를 없애야 하지 않나 싶다. 150GiB는 요즘같은 시대에 너무 적은 용량이다.
|
||||
|
||||
초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쓰지는 않아서 왜 굳이 아무도 안쓰는 서버를 계속 켜놓을까 생각이 들었는데, 요즘 들어 몸집도 커지고 트래픽도 팍팍 올라가니 할 맛이 난다. 특히 외부에 있는 다른 머신에서 (학교에 설치되어 있는 우분투라던지) 내 서버가 보이면 정말 기쁘다. 처음에는 커뮤니티를 위해서 하는거 보다는, 취미로 하는 부분이 컸는데, 지금은 커뮤니티에 조금이나마 보탠다는 생각이 좀 강해졌다. 물론 아직도 내 유일한 취미는 서버 운용과 오픈소스 기여다. 요새 프로그램을 만드는거에 노하우도 생기고 해서 꽤 완성도 있는 결과물도 많아졌다.
|
||||
|
||||
|
|
Loading…
Reference in New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