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Post “2023-10-23-git-mirror-self-hosting”
This commit is contained in:
parent
e009c16c49
commit
f0a4ae6a46
|
@ -14,7 +14,9 @@ Repo가 지금 어차피 NFS라 다른 서버에서 Overlay로 테스트를 해
|
|||
|
||||
아 맞다, 오늘 Kali 리눅스 공식 미러에 추가되었다. 일주일쯤 전에 트친분께서 Kali 미러가 너무 느리다고 하셔서 확인 해봤는데, 한국에 없어서 대만이랑 일본에서 가져오는거 아니던가.. 한국 인터넷이 바다 건너면 속도가 1/4토막이 나는 바람에 심각하게 느리겠다 싶었다. 그래서 Kali 미러링 공식 문서를 읽어 봤는데, 다른 미러는 보통 4시간에 한번 이렇게 시간으로 동기화를 하는데 요거는 SSH Pushing을 쓰는 것이었다. 동기화가 필요할 때 (메인 미러가 업데이트 되고 나서) SSH로 각 서버에 신호를 보내 동기화를 하는 방식이다.
|
||||
|
||||
SSH를 Kali 서버로만 열고, Authorized Keys 파일에 Public Key와 "command="를 입력해 두면 그 키로 인증한 클라이언트는 정해진 "command="가 실행된 환경만이 주어진다. 물론 Kali에서 제공한 스크립트도 다 오픈되어 있는 스크립트이고, 나도 한번 확인해본 스크립트지만 여튼 SSH를 타인에게 연다는 게 약간 걱정이 되었다. 아무래도 서버 권한을 남에게 주는거니까 혹여나 그쪽 PrivKey가 유출이 되거나 하면 문제가 되니까 찜찜하기는 했는데, 뭐 별 수 없다 싶었다. 이것도 그쪽에서 도메인이 아니라 IP로 고정해둬야 하는 방식이듯 해 Dynamic IP는 안된다고 했는데, 이거는 VPS에 연결해서 SSH Shim 비슷하게 설정하는걸로 해결했다. VPS IP는 고정이니까 그 서버를 거쳐서 내 로컬 서버로 들어오게 설정해놨다. 이렇게 하는 바람에 이제 VPS가 Dependency로 남아버렸다. 내가 서버를 아마 앞으로 평생 해놓을 것 같으니 저 IP도 평생 달에 5불씩 내면서 유지를 해야한다. 이것 이외에는 값싸게 고정 퍼블릭 IP를 받을 방법이 없다. 데이터센터는 트래픽이 너무 비싸고, 트래픽이 싸더라도 로컬 NFS를 써야하니까 실제 서빙 대역폭의 두배가 필요하다. 계산해 보니 달에 평균적으로 14-15TiB정도 쓰는데, 이거 VPS에서는 한 5-60불이라 부담이 좀 된다.
|
||||
SSH를 Kali 서버로만 열고, Authorized Keys 파일에 Public Key와 "command="를 입력해 두면 그 키로 인증한 클라이언트는 정해진 "command="가 실행된 환경만이 주어진다. 물론 Kali에서 제공한 스크립트도 다 오픈되어 있는 스크립트이고, 나도 한번 확인해본 스크립트지만 여튼 SSH를 타인에게 연다는 게 약간 걱정이 되었다. 아무래도 서버 권한을 남에게 주는거니까 혹여나 그쪽 PrivKey가 유출이 되거나 하면 문제가 되니까 찜찜하기는 했는데, 뭐 별 수 없다 싶었다.
|
||||
|
||||
이것도 그쪽에서 도메인이 아니라 IP로 고정해둬야 하는 방식이듯 해 Dynamic IP는 안된다고 했는데, 이거는 VPS에 연결해서 SSH Shim 비슷하게 설정하는걸로 해결했다. VPS IP는 고정이니까 그 서버를 거쳐서 내 로컬 서버로 들어오게 설정해놨다. 이렇게 하는 바람에 이제 VPS가 Dependency로 남아버렸다. 내가 서버를 아마 앞으로 평생 해놓을 것 같으니 저 IP도 평생 달에 5불씩 내면서 유지를 해야한다. 이것 이외에는 값싸게 고정 퍼블릭 IP를 받을 방법이 없다. 데이터센터는 트래픽이 너무 비싸고, 트래픽이 싸더라도 로컬 NFS를 써야하니까 실제 서빙 대역폭의 두배가 필요하다. 계산해 보니 달에 평균적으로 14-15TiB정도 쓰는데, 이거 VPS에서는 한 5-60불이라 부담이 좀 된다.
|
||||
|
||||
아웃바운드 트래픽이 14-15TiB나 되니 ISP에 헤비업로더로 등록?된듯 하다. 아무래도 가정용 회선을 써야 하니까 ISP의 제한을 조금 받는데, 가끔 DHCP도 안주고 레이턴시도 늘어지고 해서 짜증이 난다. 근데 어차피 아웃바운드는 한 80%가 국내니까 어차피 ISP 내부 망 안일텐데, 이러면 왜 굳이 제한을 하는건지 잘 모르겠다. 솔직히 국내 ISP는 국내에서라도 QoS를 없애야 한다. 150GiB는 요즘같은 시대에 너무 적은 용량인데 말이다.
|
||||
|
||||
|
|
Loading…
Reference in New Issue